통증/무릎

후방십자인대재건술 재활시 주의할 점!

pigmon 2023. 1. 26. 01:58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pig-mon입니다. 오늘은 후방십자인대재건술 후 재활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가장 중요한 것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후방십자인대 같은 경우 중력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방십자인대와 달리 후방십자인대재건술 후 무릎 가동범위를 증가시킬 때 엎드려서 가동범위를 내줘야 합니다. 만약에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게 된다면 이식한 건에 영향을 줘서 보호가 되지 않아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됩니다. 즉 최악의 상황에서는 재수술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후방십자인대재건술 후 가동범위 증가를 위해서는 엎드린 상태에서 각도를 내야 합니다. 단, 수술한 지 3-6개월 정도가 지났다면 이식한 건이 자리를 잡고 안정화가 되었기 때문에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가동범위를 낼 수 있지만 사실 3-6개월 정도의 시간 동안 각도를 못 만들었다면... 각도를 완전히 만드는 것은 힘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가동범위 확보하는 시기 때 엎드린 상태에서 무릎의 각도를 다 내야 합니다.

 

후방십자인대재건술 후 체중지지는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처음 말씀드린 것처럼 후방십자인대는 중력에 영향을 많이 받아 처음에는 체중지지를 하지 않고 보통은 4주 후에 체중지지를 시작하게 됩니다. 단 수술하신 의사 선생님이 생각하는 재활프로토콜도 있기 때문에 수술하신 의사 선생님 프로토콜에 따라가시면 되지만 보통은 수술 후 4주 정도 체중지지를 하지 않고 4주 후부터 체중지지를 시작하게 됩니다.

 

보조기를 착용할 때 보통은 0도에 맞춰 놀 것입니다. 그 이유는 처음에 이식한 건에 대해서도 보호를 해줘야 하기 때문에 0도 맞춰두고 서서히 30도, 45도, 60도, 75도, 90도~120도 정도까지 15도씩 각도를 천천히 올리게 됩니다. 보조기 각도는 보통 체중지지를 시작하면서 올리기 시작합니다. 마음대로 보조기각도 건드시지 마세요...ㅠㅠ

 

일반 CPM은 금지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무릎을 누워서 구부리게 되면 중력의 영향을 받아버리기 때문에 후방십자인대재건술 후에는 엎드려서 가동범위를 증진시켜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누워서 하는 CPM은 금지입니다.

 

후방십자인대재건술과 합께 posterolateral corner(후외측) 또는 무릎외측인대와 같이 손상이 되어 수술하신 분들은 한 4주 정도 재활이 더 늦게 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위에 재활기간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2023.01.19 - [통증/무릎]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반달연골 절개술 재활할 때 주의할 것

2023.01.04 - [통증/무릎]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자가이식? 타가이식? 자가건과 타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