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명절증훈군?!

pigmon 2023. 1. 25. 09:27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pig-mon입니다. 즐거운 명절 다들 잘 보내셨죠? 오늘은 명절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절증후군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가사노동등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코로나가 발생하면서 명절증후군은 많이 줄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하지만 이제 코로나 규제도 점차 풀리면서 명절에 다시 고향에 방문하게 되면서 다시 조금씩 증가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요즘 많이 편해졌다고 말씀들 하지만 여전히 힘들게 가사노동 및 스트레스와 장시간 운전을 통해 통증을 겪고 있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통증을 주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명절증후군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전을 장시간 붙이는 것들) 평소에 쓰지 않은 근육들도 많이 쓰게 되며(평소에 하지 않았던 움직임을 많이 하게 되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있게 되는 경우(장시간 운전을 하는 경우)등으로 인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통증을 느끼는 것은 육체적인 것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고 꼭 뭔가 무리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들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 집을 떠나 시댁에 가거나 처가댁에 가게 되면 아무래도 긴장할 수 있고 여러 가지로 심리적인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회적인 요인들을 생각해 보면 설날에도 일을 나가야 생계가 유지가 되거나 명절에 돈이 많이 지출됨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도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앞에 말씀드렸듯이 우리가 육체적인 것에 의해서도 통증이 올 수 있지만 심리적인 것들과 사회적인 것들로 인해서도 통증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명절증후군 증상을 보이시는 분들은 대부분인 일상으로 돌아가면서 명절에 대한 스트레스와 여러 가지 통증요인들이 많이 줄게 됩니다. 대신 일상에서의 스트레스 등을 겪을 수 있지만 명절증후군은 며칠 지나게 되면 거의 다 회복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에 내가 며칠 혹은 몇 주가 지나는데 통증이 그대로라면 외과나 정신과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추천해 드립니다.

 

우리는 꼭 신체의 문제로만 통증을 일으키진 않습니다. 심리적인 것들과 사회적인 것들도 같이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내 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2023.01.12 - [통증] - 폐경기, 갱년기 이후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통증 증가?!

2023.01.02 - [통증] - 만성통증 목, 허리 이유는...?